본문 바로가기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정보

상비약 해열제 종류, 복용량 및 교차복용 방법!

by 척척약사 2023. 6. 12.
728x90
반응형

해열제

일반적으로 발열, 열이 난다고 하는 것은 체온 38도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며 37.3도 이상일 경우 미열이 있다고 말합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에 따르면 38도 이상의 발열이 있을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39도 이상일 경우 고열이 있다고 말합니다. 해열제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성분이 사용됩니다.

 

 

해열제 작용기전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아세트아미노펜은 타이레놀이라는 상품명으로 유명한 성분입니다.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를 억제하고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뇌의 열 조절 중추에 직접 작용하여 해열 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NSAIDs와 다르게 아세트아미노펜은 소염작용은 하지 않고 해열, 진통 작용만 합니다.

 

 

이부프로펜(Ibuprofen)

이부프로펜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계열 중 하나이며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하는 사이클로옥시게나제-1, 2(COX-1,2)를 억제합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 발열, 통증을 유발하는 생리활성물질로 NSAIDs는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을 억제해 해열, 진통, 소염 효과를 갖게 됩니다.

 

 

덱시부프로펜(Dexibuprofen)

덱시부프로펜은 이부프로펜의 거울상 이성질체입니다. 이부프로펜은 S-ibuprofen과 R-ibuprofen이 혼합된 형태인데, 실질적인 약효를 갖는 것은 S-ibuprofen이고, R-ibuprofen은 위장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합니다.

 

덱시부프로펜은 약효를 가지는 S-ibuprofen만으로 이루어진 약물로 이부프로펜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적은 양으로도 유사한 진통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령별 복용량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 통상적으로 만 4개월 이상부터 복용할 수 있으며 4시간마다 복용 가능하며 10 ~ 15 mg/kg 씩 복용합니다. 

 

이부프로펜은 만 12개월 이상 복용가능하며 1회 5 - 10 mg/kg 씩 1일 3~4회 복용하며 30kg 미만의 소아의 1일 최대 투여량은 500mg입니다.  

 

덱시부프로펜은 만 6개월 이상 복용가능하며 1회 5 - 7 mg/kg 씩 1일 3~4회 복용합니다. 

 

 

해열제 교차복용

38도 이상의 발열이 있고 한 계열의 해열제 복용으로 열이 내려가지 않을 경우 다른 계열의 해열제를 교차로 복용해 열을 떨어뜨리는 방법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 계열 1가지와 NSAIDs(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계열 1가지를 선택한 후 2시간 간격으로 교차 복용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계열의 해열제는 4 - 6시간 간격을 지켜서 복용하도록 합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이부프로펜과 덱시부프로펜은 같은 계열이기 때문에 교차복용을 해서는 안됍니다.

 

 

성분별 주의사항

아세트아미노펜은 정해진 용법대로 복용할 경우 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지만 장기간 사용할 경우, 신기능 장애가 유발될 수 있고 대량 복용 시 간기능 장애가 올 수 있습니다.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과 같은 NSAIDs 계열 해열진통제 대표적으로 소화불량,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이기 때문에 공복 복용을 피하고 식후 복용하도록 합니다. 과량 복용만 피하면 부작용을 드물기 때문에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반응형

 

해열제 관련 Q&A

Q. 해열제는 몇 도부터 먹이나요?

A. 보통 38도 이상일 경우 해열제를 복용합니다. 

 

Q. 4개월 미만의 아기는 어떤 해열제를 먹어야 하나요?

A. 4개월 미만의 아기더라도 전문의의 판단 하에 아세트아미노펜 성분과 같은 해열진통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생후 3개월 미만의 신생아에서 발열이 발생했다면 임의로 해열제를 먹이지 말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Q. 아스피린도 해열진통소염제로 알고 있는데 소아에게 먹이면 안 되나요?

A. 아스피린은 소아 및 청소년에게서 라이증후군(Reye's syndrome)을 유발할 수 있어 권장하지 않습니다. 라이증후군은 의식소실 등의 뇌증 및 간효소 수치의 상승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Q. 열이 40도를 넘어갈까 봐 걱정돼요

A. 정상 소아의 경우 42도를 넘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주위 환경이 극심한 고온 상태이거나, 악성 고열, 갑상선 항진증, 약물에 의한 발열 등에 의한 경우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38도 이상의 열이 날 경우 방을 서늘하게 하고 수분 공급을 충분히 해주고 미지근한 물로 아이의 몸을 닦아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Q. 해열제를 먹인 후 저체온증이 오면 어떻게 하죠?

A. 용법대로 복용했다면 저체온증이 오는 경우는 드뭅니다. 저체온증은 35도 미만일 경우를 말하는 데 추운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거나 해열제를 과량 복용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저체온증이 의심된다면 체온을 우선 제대로 쟀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고, 체온이 많이 떨어진 게 아니라면 이불이나 담요 등으로 몸을 덮어 따듯하게 해 주고 상태를 지켜보도록 합니다.

 

만약 저체온증에 가깝게 체온이 떨어진 게 맞다면 의식이 있는지 확인하고 몸을 따듯하게 해 체온을 유지하며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Q. 해열제 먹은 후 토를 했어요. 다시 먹어야 하나요?

A.  해열제를 복용한 후 10분 이내로 구토를 했다면 다시 먹이는 것이 좋고, 10분 이상이 지났다면 바로 약을 먹이지는 말고 열이 떨어지는지 지켜보도록 합니다.

 

 

[출처]

소아 발열. 질환상식.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아세트아미노펜. 약물백과. 약학정보원

이부프로펜. 약물백과. 약학정보원

덱시부프로펜. 약물백과. 약학정보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