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94

파스 올바른 사용법! 파스의 성분 파스의 성분은 케토프로펜, 인도메타신, 플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 피록시캄 등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입니다. NSAIDs 계열의 소염진통제는 경구로 복용 시 위장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파스는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을 억제하는 작용으로 근육통, 관절통 부위에 부착하면 국소적으로 작용하여 경구로 복용했을 때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파스의 제형 파스는 제형별로 플라스타(첩부제), 카타플라스마제, 에어로솔제, 겔제, 액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첩부제는 수분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아 얇고 접착력이 좋은 편입니다. 카타플라스마제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 두께가 있는 편이지만 촉촉하고 자극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쿨파스 vs.. 2023. 6. 14.
불면증에 도움 되는 영양 성분은 뭐가 있을 까? 불면증 불면증은 2주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며, 잠들기 어렵거나 야간에 자주 깨거나 새벽 일찍 일어나 잠을 설치는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불면증에는 일시적 불면증, 단기 불면증, 장기 불면증이 있습니다. 일시적 불면증은 며칠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주원인은 수면 주기 변화, 스트레스, 단기 질병에 의해 발생합니다. 단기불면증은 2주에서 3주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역시 스트레스나 신체적 및 정신적 질병과 관련있습니다. 장기 불면증은 몇 주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한 가지 원인을 꼽기는 어려우며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불면증 원인 불면증의 원인으로 생활습관 요인, 환경적 요인, 신체적 요인, 심리적 요인이 있습니다. 생활습관 요인으로는 흡연, 음주, 카페인이 포함된 커피나 음료를 즐기.. 2023. 6. 13.
상비약 해열제 종류, 복용량 및 교차복용 방법! 해열제 일반적으로 발열, 열이 난다고 하는 것은 체온 38도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며 37.3도 이상일 경우 미열이 있다고 말합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에 따르면 38도 이상의 발열이 있을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39도 이상일 경우 고열이 있다고 말합니다. 해열제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성분이 사용됩니다. 해열제 작용기전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아세트아미노펜은 타이레놀이라는 상품명으로 유명한 성분입니다.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를 억제하고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조절해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뇌의 열 조절 중추에 직접 작용.. 2023. 6. 12.
드디어 코로나 엔데믹! 코로나 감염 시 격리 의무 없음! 코로나19 엔데믹 방역 조치 변경 내용 6월 1일 목요일부터 위기단계를 '경계'로 조정하고 격리, 마스크 등 방역 조치가 자율 시행 및 권고사항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시 7일 격리 의무가 5일 권고로 바뀌었습니다. 의원, 병원과 약국에서 유지되던 마스크 착용 의무 또한 의원급과 약국에서는 권고로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취약시설은 마스크 착용 의무가 당분간 유지됩니다. 주요 방역조치는 완화를 하지만 생활지원제도나 치료비 지원 등의 지원 체계는 유지됩니다. 격리참여자로 등록하고 격리 이행이 확인될 경우 참여자에 한해 생활지원비 등이 지급됩니다. 아프면 쉬는 문화 정착을 위해 격리가 권고되는 5일 동안 사업장에서 유급 또는 무급 휴가, 연차, 유연근무제를 활용을 .. 2023. 6.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