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관련 정보

간기능 검사 수치의 의미, 해석

by 척척약사 2023. 5. 8.
728x90
반응형

간의 기능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장기 중의 하나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관입니다.

 

간이 우리 몸에서 수행하고 있는 기능은 첫 번째로 단백질, 당, 비타민, 그리고 지방 등의 대사를 관장합니다. 두 번째는 담즙을 생산하여 지방의 소화와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를 도와줍니다.

 

세 번째는 알코올, 암모니아, 니코틴, 약물, 그리고 소화하면서 생긴 몸에 해로운 물질 등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해독작용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오래된 적혈구를 제거합니다. 간에서 제거된 오래된 적혈구 안에 포함되어 있는 철은 골수에서 새로운 적혈구를 만드는데 재활용됩니다.

 

 

간 기능 검사_간세포 손상 관련

간 기능 검사는 간담도계 질환의 간접적인 증거로 사용되며 특정 질환에 대한 진단적 도구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비정상적 소견은 간 기능 검사 항목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임상적인 상황과 함께 고려하게 됩니다.

 

1. 아미노기전달효소

ALT, AST는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들로 주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면 혈중으로 방출되어 농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급성 간세포 손상일 경우 초기에는 간세포 농도가 더 높은 AST가 증가하지만, 24~48시간 이후에는 반감기가 긴 ALT가 더 높아지게 됩니다.

 

만성 간세포 손상일 경우 ALT가 더 높은 경우가 많으며 섬유화가 진행되면 ALT는 감소하게 되며 간경변증에 이르면 AST가 더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말기 간경변증에서는 간 조직이 광범위하게 파괴되어 보통 AST, ALT가 높지 않고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1) AST(GOT) 정상범위 0 ~ 40 IU/L

간세포 외에 심장, 근육, 혈구 등 포함한 체내 대부분에 존재합니다.

 

2) ALT(GPT) 정상범위 0 ~ 40 IU/L

주로 간에만 존재합니다.

 

2. 젖산 탈수소효소(LDH)

정상범위 100 ~ 225 IU/L

 

LDH는 당이 분해되어 에너지로 변할 때 필요한 효소로 전신에 광범위하게 퍼져있어 여러 장기의 손상 시 증가합니다. LD가 상승되었다고 해서 질환을 특정 짓기는 어렵고 증상이나 다른 검사결과를 종합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3. 알칼리성 인산염 분해 효소(ALP)

정상범위 성인 30 ~ 115 IU/L, 60 ~ 300 IU/L

 

ALP는 간세포 내 쓸개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주로 담즙 배설 장애가 있을 경우 ALP가 상승합니다. 그러나 간 이외에 뼈에도 많이 존재해 뼈 질환이 있을 경우 수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소아의 경우 성장이 활발하기 때문에 성인보다 높은 ALP 수치를 나타냅니다.

 

폐쇄성 담즙 정체 시 ALP 합성이 증가하고 배설이 감소해 혈청 ALP 수치가 정상보다 2배 이상 증가합니다. 빌루빈의 증가와 비례해 ALP 수치가 증가되지만 담즙 정체가 해결돼도 ALP 농도는 빌리루빈보다 나중에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4. 감마 글루타밀 전이 효소(GGT, r-GPT)

정상범위 남자 11 ~ 63 IU/L, 여자 8 ~ 35 IU/L

 

GGT 또는 r-GPT라고 불리는 효소는 간세포 내 쓸개관에 존재해 간의 폐쇄 질환과 공간 점유 병변에서 높게 상승됩니다. GGT와 ALP가 함께 상승했다면 주 원인은 쓸개즙 배설 장애일 확률이 높습니다.

 

알코올성 간 질환에서는 ALP 수치는 정상 또는 아주 약간 상승하고 GGT 수치는 매우 높에 상승됩니다. 간 질환 이외에도 알코올 중독, 비만,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항경련제 복용, 경구 피임약 복용 등에서 상승할 수 있습니다.

 

 

5. 빌리루빈

빌리루빈은 담즙에 포함된 색소입니다. 약 85%는 수명이 끝난 적혈구의 대사산물로 주로 간, 지라, 골수 등에서 물에 녹지 않는 비결합형 빌리루빈(간접 빌리루빈) 형태로 혈중으로 방출됩니다. 

 

비결합형 빌리루빈은 간으로 이동하여 물에 녹는 결합형 빌리루빈(직접 빌리루빈)으로 변화해 담즙에 포함되어 장관으로 배출됩니다. 

 

1) 총 빌리루빈 정상범위 0.2 ~ 1.2 mg/dL

총 빌리루빈은 직접 빌리루빈과 간접 빌리루빈을 포함한 전체 빌리루빈 농도를 말합니다. 간질환, 폐쇄성 황달, 용혈성 빈혈, 유전 질환 등에서 총 빌리루빈 수치가 상승할 수 있으며 간장애나 담도 폐쇄 여부 및 중증도를 반영합니다.

 

2) 직접 빌리루빈 정상범위 0 ~ 0.5 mg/dL

직접 빌리루빈은 간담도 폐쇄, 간의 외상, 간경변증, 약물 반응, 알코올 남용 등에서 증가합니다.

 

3) 간접 빌리루빈

혈액 내 빌리루빈은 주로 비결합형이며 주로 용혈 현상에 의해 증가하지만 빌리루빈 대사 장애를 일으키는 길버트 증후군에서도 증가합니다.

 

반응형

간 기능 검사_간의 합성기능 관련

1. 총단백과 알부민

총 단백 정상범위 6.0 ~ 8.0 g/dL

알부민 정상범위 3.3 ~ 5.2 g/dL

 

모든 단백질의 90% 이상, 알부민의 100%는 간에서 합성됩니다. 따라서 간 조직이 심하게 파괴되면 혈청 단백질과 알부민의 농도가 감소합니다. 탈수증에서는 단백질 농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프로트롬빈 시간(PT)

정상범위 10.0 ~ 13.0 sec

 

간에서 합성되는 혈액 응고 인자들이 관여하는 응고 과정을 반영합니다. 혈액 검체에서 응고가 일어나는 시간을 초 단위로 측정합니다.

 

간 기능 장애가 있을 경우 응고 인자의 합성이 감소하여 혈액 응고 시간이 늘어나므로 PT 수치는 정상보다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심한 간 기능 장애 환자들의 출혈 위험도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728x90

간 기능 검사_간의 대사기능 관련

1. 암모니아

정상범위 15 ~ 51 ug/dL

 

암모니아는 단백질 분해 과정 중 생산되는 대사산물로 요소회로의 주요 효소들이 간세포에만 존재해 간에서만 대사 됩니다. 간 조직 대부분이 파괴되면 암모니아의 분해가 이루어지지 못해 혈중 농도가 증가하고 뇌에 쌓여 간성뇌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콜레스테롤

총 콜레스테롤 정상범위 140 ~ 199 mg/dL

 

콜레스테롤의 60% 정도가 간에서 합성되어 심한 간 부전이 있을 경우 콜레스테롤 합성이 저하됩니다. 반대로 간암, 폐쇄 황달 등 담즙 정체가 있는 경우에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출처]

간기능검사. 건강정보.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