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정보

사전피임약 복용법, 종류, 부작용

by 척척약사 2023. 1. 26.
728x90
반응형

사전피임약 효과와 기전

사전피임약은 피임 실패율이 1% 미만인 효과적인 피임방법입니다. 피임 목적 외에도 월경주기 조절, 월경 전 증후군, 갱년기 증상 완화 등에도 사용됩니다.

사전피임약은 보통 에스트로겐 계열과 프로게스테론 계열의 복합제입니다. 에스트로겐은 뇌하수체에서 난포자극호르몬(Follicile stimulating hormone, FSH) 이 분비되는 것을 막고, 프로게스테론은 시상하부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의 분비를 막아 난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의 분비를 억제하여 난포의 발달과 배란을 억제합니다.

프로게스테론은 자궁경부의 점액 점도를 증가시켜 정자가 통과하기 어렵게 하고, 자궁 내막을 두텁게 유지시켜 수정란이 착상하지 못하게 합니다.



사전 피임약 성분 및 부작용

사전 피임약에 포함되어 있는 에스트로겐 유도체는 에티닐에스트라디올(ethinylestradiol) 한 가지이고, 프로게스테론 유도체는 레보노르게스트렐(levonorgestrel), 데소게스트렐(desogestrel), 게스토덴(gestodene), 드로스페논(drospirenone) 등이 있습니다.

에티닐에스트라디올은 에스트로겐 유도체로 배란을 억제하고 부정 출혈을 예방합니다. 오심, 구토, 유방압통, 두통, 복부 팽만감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함량이 낮으면 이러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지만 피임 효과도 감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사전피임약은 프로게스테론 유도체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1, 2, 3, 4세대로 나뉩니다. 일반의약품으로 시판되는 사전피임약에 포함된 성분은 2세대인 레보노르게스트렐, 3세대인 데소게스트렐, 게스토덴이고 4세대인 드로스페논은 야즈정, 야스민정 등의 전문의약품으로 시판되고 있습니다.

프로게스테론 유도체는 구조적으로 남성호르몬인 안드로겐과 유사하여 여드름, 다모증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세대인 레보노르게스트렐은 프로게스테론 작용과 안드로겐 작용이 함께 있어 체중증가, 식욕증가, 여드름 등의 부작용 위험이 있습니다.

3세대에서는 안드로겐 작용이 감소하였지만 프로게스테론 작용으로 인한 두통, 유방압통 등의 부작용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피임약 부작용 중 혈전생성의 경우 2세대에 비해 3세대, 4세대에서 발생위험이 더 높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사전피임약 복용법

피임목적, 불규칙한 생리주기 안정화, 갱년기 증상 완화 등으로 사전피임약을 복용하는 경우 생리 시작하는 날부터 복용을 시작합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1정씩 21일간 복용하고 7일간 휴약 한 후 다시 21정을 복용합니다. 28정 포장인 약의 경우, 휴약기간 없이 활성약 24정 복용 후 비활성약 4정을 복용합니다.

여행, 시험 등의 이유로 생리 주기 변경을 원할 경우 생리 예정일부터 최소 일주일 전에 약 복용을 시작하고 원하는 날까지 1일 1회 1정을 휴약기 없이 지속적으로 복용합니다.

1회 복용을 놓쳤을 경우 생각난 즉시 1정을 복용하고 평상시대로 정해진 시간에 다음 약을 복용합니다. 2회 복용을 놓쳤을 경우 이틀동안 2정씩 복용 후 7일 동안 추가적인 피임방법을 병행합니다.



사전피임약 부작용

피임약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메스꺼움으로 증상이 심할 경우 취침 전 복용으로 변경해보도록 합니다. 피임약 복용 초기에 유방압통, 체중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고 복용을 지속하면 2-3개월 후 자연적으로 감소합니다.

피임약의 위험한 부작용은 혈전 생성입니다. 특히 흡연은 혈전과 같은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을 더욱 높이는 데 35세 이상 여성에서 위험이 훨씬 크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35세 이상 여성의 경우 2세대 경구피임약을 추천하며 반드시 금연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