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관련 정보

우리 아이 눈꼽 감기?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원인, 증상, 관리

척척약사 2023. 4. 24. 14:12
728x90
반응형

아데노바이러스 유행

코로나19에 대한 마스크 착용 지침이 완화되면서 그동안 잠잠했던 호흡기 질환들이 다시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등 집단생활을 하는 유아, 어린이들 사이에서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 환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3배 정도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마스크 완화로 인해 아데노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인플루엔자, 리노바이러스, 호흡기세포융합 파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 봄철 호흡기 바이러스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환은 늦겨울, 봄, 초여름에 걸쳐 발생 빈도가 높으나 연중 산발적으로 발생합니다. 급성 호흡기 질환의 5~10%를 차지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 증상

아데노바이러스의 증상은 발열, 기침, 콧물,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심한 경우 인두염, 폐렴 등 하기도감염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오심, 구토, 설사와 같은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유행성각결막염의 원인이 되어 눈곱이 끼거나 결막이 충혈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실제로 아데노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 중 눈꼽이 많이 끼는 결막염 증상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 눈곱감기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소아에게 주로 발병하며, 연령이 높아지면 감염 위험이 감소합니다. 특히 6개월 ~ 2세에게 흔히 발생하며 7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발열성 호흡기 감염증 중 약 5~10%가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추정됩니다.

 

반응형

 

아데노바이러스 전파경로

아데노바이러스는 감염된 사람과 직접 접촉하거나 기침이나 재채기로 인한 호흡기 비말을 통해서 전파될 수 있습니다. 또한 오염된 물건을 만진 뒤 눈, 코, 입을 만지거나 수영장 물을 통해서도 전파 가능합니다.

 

잠복기는 평균 4~5일이지만 길게는 14일 뒤에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염기간은 증상이 있는 동안 바이러스 전파 가능합니다. 증상이 있는 동안 가급적 집에서 휴식을 취하고 다른 사람과 접촉을 피해야 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 치료

아데노바이러스의 치료는 수액 보충이나 해열제 등을 사용하는 대증 치료로 이루어집니다. 예방백신이나 특이적인 항바이러스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이 제일 중요합니다.

 

치명률은 낮은 편으로 대부분 자연회복됩니다. 

 

 

아데노바이러스 관리 및 예방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를 생활화해야 하며, 외출 후, 배변 후, 식사 전후, 기저귀 교체 전후, 기침이나 재채기를 한 후 등에 손 씻기를 실시해야 합니다.

 

기침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해야 하며 기침 후 올바른 손씻기를 실천하도록 합니다. 감염 환자는 마스크를 착용해 주위 사람들에게 전파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면 안돼며 감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을 피하도록 합니다.

 

 

 

[출처]

2021년도 호흡기감염증 관리지침. 질병관리청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