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정보

약국 불면 치료, 수면 유도제

척척약사 2023. 2. 7. 09:45
728x90
반응형

불면증

대한수면연구학회에 의하면 밤에 잠들기가 어렵거나 자주 깨는 경우, 아침에 일찍 깨는 경우, 그리고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성인의 매일 평균 8시간 정도 수면이 필요하고 나이가 들어가면서 총 수면 시간이 짧아지고 잠에서 깨는 횟수가 많아집니다.

 

신경전달물질 중에 GABA, 아데노신,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등이 수면을 촉진하고, 히스타민, 도파민 등은 각성 상태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아세틸콜린과 세로토닌은 수면 및 각성 모두에 관여합니다.

 

 

불면증 원인, 증상

불면증의 증상은 밤에 잠들기가 어렵거나 자주 깨고, 새벽에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렵고,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은 것입니다. 불면증은 지속기간에 따라 일시적, 단기적, 만성적 불면으로 나뉩니다.

 

일시적 불면증은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나 변화로 인해 7일 이내 동안 지속되는 불면증을 말합니다. 단기적 불면증은 가족, 지인의 사망 등 심각한 스트레스로 인해 약 1개월 정도 지속되는 불면증입니다. 

 

불면증이 해결되지 않으면 만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한국인의 약 20% 정도가 만성 불면증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불면증은 심리적 원인이나 생활습관, 약물 등에 의해 생길 수 있어 원인을 파악하여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불면증 치료-수면유도제(항히스타민제)

히스타민은 대뇌피질 세포의 H1 수용체에 결합하여 대뇌를 활성화시킵니다. 이러한 히스타민을 억제하는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혈액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통과하여 대뇌피질에 존재하는 H1 수용체를 차단하여 수면 유도 및 진정 작용을 나타냅니다.

 

디펜히드라민(diphenhydramine)과 독시라민(doxylamine) 등의 성분이 일반의약품의 수면 유도제로 허가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항히스타민제 성분의 수면 유도제는 습관성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기간 복용할 경우 변비, 입마름, 배뇨곤란, 빈맥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내성이나 금단 증상이 있을 수 있어 7일 이상 연속으로 복용하지 않도록 하며, 3일 정도씩 간헐적으로 복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다음날 아침까지 몽롱한 증상이 남아있을 수 있어 운전이나 기계조작이 필요할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불면증 치료-천왕보심단

천왕보심단은 인삼, 맥문동, 길경, 당귀, 청문동, 황련, 원지, 복령, 생지황, 단삼, 오미자, 현삼, 백자인, 산조인 총 14가지의 생약성분으로 구성된 한약제제입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진액이 고갈되어 불안, 초조, 가슴 두근거림, 불면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심신을 안정시켜 수면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천왕보심단은 의존성이 없고 장기간 복용할 수 있으며 특히 원지와 복령은 총명탕에도 들어가는 재료로 중요한 시험이나 면접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수험생들에게 추천합니다. 기존에는 환 형태로만 시판되었지만 최근에는 액상형으로도 출시되어 복용하기 편한 제품이 많습니다.

 

 

 

728x90
반응형